공매도 정의 종류 효과

공매도 정의 종류 효과

공매도는 쉽게 말해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사람이 주식을 팔 수 있는 거래행위입니다. 주가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주가가 하락하면 같은 종목을 싼값에 다시 매수하여 차익을 챙기는 매매 방식이죠. 오늘은 이 공매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공매도아래를 확인하세요.

■ 공매도란?

공매도란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주식을 파는 것을 말합니다. 주가하락을 예상하여 빌린 주식을 파는 행위로 투자자는 주식중개인을 통해 주권을 빌린 다음 매수자에게 인도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먼저 사서 나중에 파는 행위와는 반대로 먼저 팔고 나중에 매입하는 것이죠.

 

만약 더 낮은 가격에 되산다면 수익을 낼 수 있으나 높은 가격에 주식을 되살 경우 손실을 보게 됩니다.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매도가 가능한 이유는 주식 매도 주문 시점과 실제 결제 시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공매도 종류

공매도에는 무차입 공매도, 차입 공매도가 있습니다.

 

1. 무차입 공매도

무차입 공매도는 주식을 하나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먼저 매도한 뒤 결제일 전에 주식을 빌리거나 되사서 반환하는 방식입니다. 공매도 수량에 대한 제한이 없는 투기적 거래로 결제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가지 예로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공매도한 주식이 결제되지 않는 일이 발생하면서 허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서 '증권시장의 안정성 및 공정한 가격형성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는 경우' 공매도를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도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무차입 공매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2. 차입 공매도

차입 공매도는 증권회사나 증권예탁결제원 등 타 기관으로부터 주식을 빌린 후 매도하는 것입니다. 사전에 주식을 차입하기로 확정되어 있는 거래로 우리나라에서 허용하는 방식이죠. 차입 공매도에서 주식을 빌리는 방법에는 대차거래와 대주거래가 있습니다.

 

1) 대차거래

대차거래는 주식을 장기간 보유하고 있는 기관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한 후 일정 기간 안에 이를 구입해 반환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대차거래는 기관과 외국인이 주식을 빌리는 수단입니다.

2) 대주거래

대주거래는 개인 투자자가 일정한 증거금을 내고 증권회사로부터 주식을 빌리는 거래 방식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기관 투자자의 차입 공매도는 1996년에 도입되었으며 외국 투자자의 차입 공매도는 1998년부터 허용되었습니다.

 

■ 공매도 효과

공매도는 주가가 비정상적인 이유로 급등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여 증권시장에서 효율성과 유동성을 높이고 주식투자의 위험 요소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세 조종과 채무불이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매도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어느정도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죠.

 

'업틱 룰' 이라는 규정이 있는데 이는 공매도 주식을 팔 때 시세보다 높은 가격에 팔도록 한 규정으로 공매도로 인한 주가 하락을 막기 위해 우리나라와 호주 등에서 도입하고 있는 제도입니다.

■ 공매도 금지

공매도는 불안정한 경제 상황에서는 위기를 악화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금융당국에서는 세계 경제 위기 상황에 따라 공매도 금지 정책을 시행합니다. 한국에서는 미국 리먼브러더스 파산을 계기로 발생한 세계 금융위기 사태를 맞아 2008년 10월 1일부터 2009년 5월 31일까지 8개월 간 전 종목의 공매도를 금지한 사례도 있으며 유럽 재정위기로 세계 경제가 위기를 맞았던 2011년 8월 10일부터 11월 9일까지 약 3개월 간 전 종목의 공매도를 금지한 사례도 있습니다.

 

2020년 3월 16일 부터는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세계경제 불안정 위기에 따라 사상 세번째로 시장 전체 상장종목에 대한 공매도를 6개월간 전면 금지하는 조치를 내린적도 있습니다. 이후 공매도 금지 조치는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며 계속적으로 연기된 사례도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